장례정보

어렵고 복잡한 장례/제례정보 쉽고 정확히 알려드립니다.

제례정보

  • 제사지내는 법
  • 제사상 차리는 법
  • 설, 추석 차례지내는 법
  • 지방쓰는 법

제사지내는 법만큼 지방 따라 문중(門中)따라 각양각색인 것도 없다. 그러나 그 의의(意義)를 알고 보면 어느 것이 원칙(原則)인지 금방 알수 있다. 그 의의(意義)는 제사 지낼 때에 읽는 축문에 "헤가 바뀌어 제삿날이 돌아오니 하늘과 같은 은혜를 잊을 수가 없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공손이 제사 드리오니 드리옵소서" 라고 되어있는 것과 같이 조상님에 대한 보은(報恩)의 식사대접인 것이다. 따라서 최고의 손님에게 식사대접을 할 때와 똑같이 하면 되는 것이다.

1. 모셔들이고2. 어서오십시오 인사하고3. 술부터 대접하고 4. 식사를 대접하고5. 물을 올리고6. 안녕히 가십시오.

인사를 하면 되는 것이다. 이하 손님접대와 제사순서를 대조해가며 설명하겠다.

손님접대와 인사순서
손님을 대접할 때 제사지내는 법
손님을 대접할 때 처음에 할 일이 무엇인가.
모셔들이는 것이 아니겠는가.
제사도 마찬가지다.
분향강신(焚香降神)의 분향은 향을 피운다는 뜻이며, 강신은 조상신께서 내려오셨다는 뜻이니, 향을 피워 조상님을 모셔 들이고, 참석자 모두가 "어서 오십시오." 절(첫번째)을 하는 것이다.
(옛날부터 신이나 귀신은 비가 오거나 안개가 낀 날 나타난다고 믿었던 것인데, 가정에서는 비를 오게 하거나 안개를 끼게 할 수 없으므로, 그 대신 안개와 유사한 향의 연기를 피워 조상신을 모셔 들였던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행사를 할 때 먼저 천지신명께 기원하는 풍습이 있다.
묘제를 지낼때에도 먼저 산신제를 올리고 술을 산에 뿌리는것이 그런것이다.
참신(參神)이라는 것은 신께서 참석하셨다는 뜻이니, 천지신명께 “조상님께서 참석하셨으니 지금부터 조상님제사를 지내고자 합니다.
굽어 살피소서”라며 술을 잔에 조금 따라 향을 쏘인 후 땅에 붓고 모두가 절(2번째)을 하는 것이다. * 실내에서는 방바닥에 술을 부울 수가 없으니까 그릇에 풀과 모래를 담아놓고 그것을 땅이라 하고 거기에 부었던 것이다.
그래서 이 그릇을 "풀 우거질 모(芼)자와 모래 사(沙)자를 붙여 모사그릇"이라고 했던 것이다. 요즘은 풀, 모래를 넣지 않고도 모사그릇이라고 한다. (향을 쏘이면 향을 매개(媒介)로 제물(祭物)이 신에게 간다고 믿었던 것임).)
그 다음은 ' 어서오십시오
그 동안 어떨게 지내셨습니까,
차린것은 없으나 많이 드십시오.
라는 인사가 아니겠는가?
독축이란 축을 읽는 다는 뜻이니. 즉 환영사인 것이다.
유세차 모월모일 효자OO 감소고우 현고학생부군 현비유인충주최씨
維歲次 某月某日 孝子OO 敢昭告于 顯考學生府君 顯妣孺人忠州崔氏
세서천역 휘일부림 추원감시 불승영모 근이 청작서수 공신전헌 상향
歲序遷易 諱日復臨 追遠感時 昊天罔極 謹以 淸酌庶羞 恭伸奠獻 尙饗
(* 고조, 증조, 조일 때는 昊天罔極을 不勝永慕라 쓴다) 그 뜻은 "모월모일 효자00은 아버님 어머님영전에 아룁니다. 해가 바뀌어 제삿날이 돌아오니 하늘과 같은 은혜를 잊을 수가 없습니다.
삼가 맑은 술과 여러 음식으로 공손히 제사 드리오니 드시옵소서." 라는 것이다.
(한글로 이렇게 쓰고 읽어도 된다.)
※ 요즘은 독축을 하지 않는다. 신(神)이라 다 아시고 와 계시는데 구태여 “오셔서 드십시오.”라고 할 필요가 있겠는가. 라는 것이다.
인사가 끝났으면,
술부터 대접해야 하지 않겠는가,
제사도 마찬가지다. 술부터 올리는 것이다
초헌(初獻)은 첫 번째 잔을 올린다, 아헌(亞獻)은 두 번째 잔을 올린다, 종헌(終獻)은 마지막 잔을 올린다는 뜻이며, 첨작(添酌)은 첨부해서 더 올린다는 뜻이니, 술을 3번 올리고, 첨부해서 더 올리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옛날부터 天地人의 3을 이 세상의 모든 것이라는 뜻으로 해석해 왔다. 따라서 조상님에게 술을 올리는데도 3잔을 올림으로서 “전부. 많이” 올렸다는 뜻이 되는 것이며, 또 “더 드십시오.”라는 뜻에서 모두가 조금씩 더 올리는 것인데 이것을 첨작이라고 하는 것이다.)
재래식은 초헌, 아헌, 종헌, 첨작 때마다 절을 했으나 요즘은 초헌, 아헌, 종헌, 첨작을 끝내고 모두가 절(3번째)을 한다.
술 다음은 식사대접이 아니겠는가,
제사에서도 식사대접인 것이다.
계반삽시(啓飯揷匙)라는 것은 밥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는다는 뜻이며, 합문(闔門)이라는 것은 문을 닫는다는 뜻이니, 밥그릇 뚜껑을 열고 수저를 꽂고 "맛있게 잡수세요."라 하며 모두가 절(4번째)을 하고, 신께서 편히 식사하시도록 나가고 문을 닫는 것이다. (나가있는 시간은 수저를 9번 드시는 시간인데 이것도 3을 3번 더한 뜻으로서 많이많이 잡수실 때까지라는 뜻이 담겨져 있는 것이다.)
식사가 끝났으면
차나 물을 갖다드려야 하지 않겠는가,
계문헌다(啓門獻茶)라는 것은 문을 열고 들어가 차를 올린다는 뜻이니, 문을 열고 방에 들어가 국은 내어가고 물을 올리는 것인데, 이때에도 “물에 말아 더 드십시오.”라는 뜻에서 밥을 3번 떠서 물에 말아 드리고. 모두가 절(5번째)을 하는 것이다.
접대가 끝났으면
보내드려야 하는 것이니,
사신(辭神)이라는 것은 신을 보낸다는 뜻이니, "안녕히 가십시오.” 속 인사를 하고 지방을 불사르고 (사진일 때는 거두어들이고) 모두가 절(6번째)을 하는 것이다.
손님이 가셨으니
수저를 거두고 밥뚜껑을 덮고,
상을 다시 차려 식사를 해야 하지 않겠는가,
철시복반(撤匙複飯)이라는 것은 수저를 거두고 밥뚜껑을 덮는다는 뜻이니, 수저를 거두고 밥뚜껑을 덥고, 철상음복(撤床飮福)이라는 것은 상을 거두고 복을 마신다는 뜻이니, 제사상을 거두고, 일반상차림으로 다시 차려 음식을 먹는 것인데, 조상님께서 음식을 잡수시고 거기에 복을 가득가득 채워놓고 가셨으니, 그것을 먹으면 복을 받는다고 음복이라고 하는 것이다.
  • 절은 총 6회하는 것이며, 매회 2번씩 하는 것이니 총 12회가 되는 것이다
  • 절을 2번씩 하는 이유는 돌아가신 분들은 음(陰)이기 때문이다. (살아계신 분들은 양(陽)이라 아무리 고마운 일이 있어도 1번만 해야 하는 것이다.)
  • 위와 같이 술대접 먼저하고 밥을 올리는 방식은 양반가의 원칙이다. 서민들은 처음부터 밥을 차려놓고 술대접을 했던 것이다.
  • 술잔을 향불위에 올려 향을 쏘이는 것은 그 향을 매개(媒介)로 신에게 도달한다고 믿었기 때문인 것이다. 따라서 술잔을 돌릴 필요 없이 향불 위를 통과만 해도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왕이면 바르게 많이 쏘인다는 뜻에서 正方向(시계방향)으로 3번 돌리는 것이 좋다.
제사음식
음식명 음식설명
과일 조율이 시라하며 좌측부터 대추 밤 배 감(곶감)의 순서로 차리며 그 이외의 과일들은 정해진 순서가 따로 없으나 나무 과일 넝쿨 과일 순으로 차린다.
나물과 포 좌포우혜라하여 좌측 끝에는 포(북어, 대구, 오징어포)를 쓰며 우측 끝에는 수 정과를 쓴다.
그 중간에 나물반찬은 콩나물, 숙주나물, 무나물 순으로 올리고, 고사리, 도라지나물등을 쓰기도 하며 청장(간장) 침채(동치미, 설명절)는 그다음에 올린다.
대개는 3탕으로 육탕(육류 탕), 소탕(두부 채소류 탕), 어탕(어패류 탕)의 순으로 올리며,
5탕으로 할 때는 봉탕(닭 오리탕), 잡탕등을 더 올린다. 최근들어 한가지 탕으로 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다.
적과 전 대개는 3적으로 육적(육류 적), 어적(어패류 적), 소적(두부 채소류 적)의 순서로 올린다.
* 적 : 생선이나 고기를 대꼬챙이에 꿰어서 양념하여 구운 음식.
* 전 : 재료에 밀가루를 뭍혀서 번철에 지진 음식(부침개).
  • 제사에 쓰지 않는 음식으로 복숭아, 꽁치, 갈치, 고추, 마늘, 식혜와 탕 면 등은 건데기만 사용용하고 설에는 메 대신 떡국을 추석에는 메대신 송편을 올린다.

설과 추석은 명절(名節)이다. 제삿날이 아니다. 따라서 차례(茶禮)라고 한다.

설은 새해를 맞이하는 기쁜 날

일가친척이 모두 모여 푸짐하게 음식을 차려놓고, 조상님께는 감사의 예(禮)를 올리고, 웃어른들께는 만수무강하심을 비는 세배(歲拜)와 만수금(萬壽金)을 올리고, 반면에 웃어른들은 후손들에게 “복을 받으라.”는 덕담(德談)과 세뱃돈(복)올 내리는 축복(祝福)의 날인 것이다.

추석은 오곡백과(五穀百果)가 풍성한 8월 한가윗날

햇곡으로 떡을 빚고 술을 담그고 통통히 살이 오른 가축을 잡고, 잘 익은 햇과일들로 푸짐하게 차려놓고, 일가친척이 모두 모여 조상님들께는 감사의 예(禮)를 올리고, 일가친척 모두가 따뜻한 정을 나누며 마음껏 먹고 마시며, 즐겁게 노는 기쁨의 날인 것이다.

따라서 설과 추석에는 제삿날과는 달리 제례(祭禮)법 같은 것에 구애받을 필요가 없는 것이다, 지방도 전 조상님을 모셔놓고 지내는 날이라 현 전조상님 신위 라 한 장으로 쓰고. 설에는 떡국 3그릇. 추석에는 밥 3그릇에 송편 1그릇을 차리고. 기타는 일반제사상 차리는 법에 따라 차리면 되는 것이며, 기타 아무 것이라도 푸짐하게 차리면 되는 것이다.
왜 3그릇이라고 했는가하면, 설이나 추석은 전 조상님을 모시는 차례(茶禮)임으로 떡국이나 송편 등을 많이많이 차려야 하는데, 그렇게 할 수 없음으로 모든 것, 전부라는 뜻의 3그릇만 차리라는 것이다. 물론 9그릇을 차려도 된다. (아래의 설, 추석 차래 상 참고)

그리고 설과 추석에는 무축단작(無祝單酌)이라 하여 독축을 하지 않으며, 아헌, 종헌, 합문을 생략하는 것이다. 즉 술도 제주만 한잔씩 올리고 (9잔을 차렷을 땐 어른들이 나누어 올려도 된다.) 그 외 가족들은 모두 첨작으로 한잔씩 올리는 것이며, 조상님들 식사시간에도 나가지 않는 것이다. 왜냐하면 제사 때는 조상님께서 편히 식사하시도록 밖에 나갔으나, 명절에는 전 조상님과 후손들이 모두 모여 함께 즐긴다는 뜻에서 나가지 않는 것이다.
그리고 추석에는 온 가족이 조상님의 산소에 다녀오면 좋은 것이다.

지방에는 원래 정해진 규격이 없지만 신주를 약식화 한 것이므로, 신주의 체제에 유사하게 제작하는 것이좋을 것이다.

전통적으로 지방은 깨끗한 한지에 길이는 주척으로 한자 두치이고 너비가 세치인 바 길이는 22cm에 너비는 6cm 정도이다.
이 크기에 맞추어 직사각형으로절단하여 위쪽을 둥글게 오려서 만들었다.
위를 둥글게하고 아랫쪽을 쳥쳥하게 하는 까닭은 천원지방(天圓地方:하늘은둥글고 땅은 평평하다)을 상징한 것이다.

TOP